본문 바로가기
반응형

전체 글53

나내바 개선제안 나부터 내 일부터 바꾸자 전원참가 능력개발 성과창출 나내바 개선제안은 나부터 내 일부터 바꾸자 라는 명확한 활동이다. 따라서 전원참가를 실현시키고 개선을 통해서 사원들의 능력개발을 이끌어 내어 성과창출까지 이어지는 시스템으로 기업문화를 정착할 필요가 있다. 말만으로 이 세상은 바뀌지 않는다. 나내바 개선제안 시스템을 통해서 원가절감과 생산성 향상 두마리를 달성해 나갈 필요가 있다. 1. 나내바 개선제안 나부터 내 일부터 바꾸자 나내바 개선제안 나 부터 내 일부터 바꾸자 활동은 기업문화를 정착시키는 활동이다. 기업문화가 저절로 바뀌지 않으며 전사원들을 이끌어 가야하므로 추진사무국과 리더의 역할이 매우 중요하다. 기존 제안활동의 실패경험을 가지고 나내바 개선제안과 비교하는 것은 의미가 없다. 제안제도가 잘 안 되기 때문에 개선제도가 탄생된 것이다. 과거의 잘.. 2024. 1. 31.
나내바 개선제안 성공활동 컨설팅 리더 워크숍 개선제안 급소특강 제안활동이 정체되어 있는 기업이 많다. 그것은 사원들이 제안을 해도 실시가 잘 되지 않기 때문이다. 따라서 제안사무국은 컨설팅을 통해서 우선순위가 무엇인지. 그리고 심사자와 제안자들에게 어떠한 교육을 해야 하는 것인지 추진전략이 필요하다. 1. 나내바 개선제안 성공활동 컨설팅 제안제도를 운영하면서 추진리더들이 어려워 하는 것은 제안이 나와도 실시가 되지 않아 사원들이 더 이상 제안을 하지 않게 되는 경우이다. 그것은 제안운영의 문제점을 제대로 대처하지 못해서 생기는 것이며 사원들의 입장을 고혀하지 않고 아무거나 좋으니까 제안을 하라는 식으로 이끌어 가기 때문에 사원들은 너무나 막연한 가운데 제안을 하게 되므로 자사의 제안운영방법에 대하여 되돌아 볼 필요가 있다. 추진진단 시트를 통해서 자사의 추진방향을 .. 2024. 1. 31.
나내바 개선제안 성공적인 개선활동 목적 제안과 개선의 차이점 나부터 내 일부터 바꾸자의 개념으로 삼성그굽 신경영 일환으로 시작되어 나부터 변화가 시작되었다. 개선을 통해서 사원의 능력개발과 소통이 되는 것이 목적이다. 개선은 자신의 일을 바꾸는 것이며 시대의 변화에 따라 제안방식이 바뀌었고 사단법인 한국개선협회에서 개발하여 보급했다. 1. 성공적인 개선활동 나내바 개선은 "나부터 내 일부터 바꾸자"의 첫머리 글자로서 1994년 S그룹 신경영 일환으로 추진된 “나부터 변화”가 시작점입니다. 대기업 위주로 시작되어 중소기업에 이르기 까지 추진되고 있으며 이미 검증된 활동입니다. 지금까지의 일을 보다 하기 쉽도록 자신의 일하는 방법을 되돌아보아 그것을 실시하고 상사에게 보고하여 장려금을 받습니다. 개선제도는 업종, 규모, 관계없이 일이 있는 곳 공무원, 공기업, 기관,.. 2024. 1. 31.
나내바 개선제안 인재부족 시대 능력발휘 능력개발과 소통 벤치마킹 기업이 되자 작더라도 자신의 일을 바꿔서 효과가 있으면 그것이 개선이다. 개선을 통해서 자신의 능력발휘를 할 수 있도록 기회를 주는 것이 제도이다. 자신의 일을 개선하여 자신의 능력개발이 되고 소통이 된다. 벤치마킹 기업을 찾지말고 벤치마킹 기업이 되는 것이 중요하다. 1. 인재부족 시대 사원의 소리를 경청한다. 사원의 의견을 모은다. 사원의 생각을 경영에 반영시킨다. 라는 이념으로 제안제도가 시작되어 처음에는 상당히 많은 아이디어가 제출되었지만 날이 갈수록 개점휴업 상태가 되어 버렸다. 그리고 제안을 제출해도 “검토 하겠습니다“ 라는 말로 끝나 버리고 만다. 그래서 제안자들이 실망을 하고 심사자도 제안의 대부분이 실현가능이 없는 제안 뿐이라고 한탄을 한다. 제안자와 심사자들 모두 불만을 가지게 된 상태에서 “제안만.. 2024. 1. 31.
나내바 개선제안 자기 일의 점검 백지제안 일의 낭비 없애기 자기가 판단해야 개선제안은 자신의 일을 점검하여 개선하면 된다. 전원참가를 실현하기 위해서 백지제안을 써 내도록 하는 방법도 있다. 일의 낭비가 없어지면 자신이 좋아지고 그 일의 판단은 자신이 해야 한다. 1. 자기 일의 점검 개선제안의 최대 걸림돌은 “자신이 알아서 업무를 개선하면 되는데 왜 일부터 할 필요가 있는가” 라는 의문이다. 또는 전사원이 월 몇 건 이상 달성이라는 목표에 대한 저항감이 있다. 또 평상시 알아서 하고 있으므로 “일부터 개선제안을 할 필요까지는 없지 않은가”라는 것에 대한 반발과 상금에 욕심나는 사람들이 하면 되는 것이 아닌가 라는 말이 나온다. 옛날에는 필요하고 중요한 일이었는데 지금은 필요치 않은 일이 많이 생기고 있다. 한가지의 방법으로 좋다면 개선제안이 필요하지 않다. 그러나 일에는 효율.. 2024. 1. 31.
나내바 개선제안 실시와 현재화 왜 써내는가 의식적인 눈 인정과 평가 개선의 성공비결은 실시와 현재화 2가지이다. 써내는 것이 목적이 아니다. 응용력을 키워주고 개선을 인정해 주고 평가를 해주어야 한다. 1. 나내바 개선제안 실시와 현재화 개선제안을 성공시키는 비결은 무엇인가. 그것은 실시와 현재화 이 2가지 이다. 이것만 잘하면 전원에 의한 의식적인 개선제안을 계속적으로 이끌어 갈 수가 있다. 개선제안이 실패하는 요인은 이 2가지의 결여에 있다. 왜냐하면 그것은 말로만 하는 척 하기 때문이다 어떤 일이든지 말로만 한다든가 하라고 하니까 하는 척만 하는 것은 기본이 잘 되었다고 할 수 없다. 이것이 실패의 원인이므로 성공하려면 그 반대로 하면 된다. 즉 실시와 현재화 이것이 계속되면 성공의 열쇠가 된다. 자기부서에서 가능한 것이면 부서장에게 요청을 하여 그 자리에서 검토를.. 2024. 1. 31.
반응형